Surprise Me!

QR인증, 모바일 뱅킹…디지털 앞에서 고령층 한숨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

2022-02-12 11 Dailymotion

QR인증, 모바일 뱅킹…디지털 앞에서 고령층 한숨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<br /><br />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휴대전화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에게 방역패스의 벽은 높을 수 있습니다. 이 때문에 일부 소상공인들은 노인들의 방역패스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박상률 기자가 현장의 분위기를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"QR인증 잘 몰라"… 고령층에겐 어렵기만 한 방역패스 / 박상률 기자]<br /><br />이제는 생활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이지만 일부 고령층에겐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기기입니다.<br /><br />QR코드 인증 방식의 방역패스가 불편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(스마트폰이 익숙하지 않으시잖아요. 어떤 점이 불편하세요, QR체크 할때) 내가 뭘 눌러야 할지를 빨리 몰라."<br /><br />아예 스마트폰이 없는 어르신도 많습니다.<br /><br /> "(스마트폰 없으면 백신 (QR 인증) 하는거 불편하지 않으세요?) 불편해도 어쩔수 없지, 내가 나이가 많아서 그걸 일일이 할 줄을 몰라요."<br /><br />손으로 적기만 하고 QR코드 인증은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(식당 들어갈때나 'QR체크인 하셔야 됩니다' 이런 얘기 하잖아요) 그냥 거기 체크하고 적죠 뭐. (수기로?) 네. (QR은 못하시고?) 네."<br /><br />불편하긴 가게 주인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 "(번거로우시겠네요) 번거로워도 할 건 해야죠. 한 2~3분이면 충분히 빨리 해드려요. 그런데 네이버 같은 경우에는 저희가 하기 힘들고"<br /><br />스마트폰 대신 접종증명서를 들고 오는 경우 눈으로 일일이 확인해야 합니다.<br /><br /> "(스마트폰으로 보는 것보단 조금 더 불편하겠네요) 조금 더 불편하지, 자기가 종이펴고 뭐."<br /><br />일부 식당에선 아예 QR 인증을 생략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 "어떤 사람은 '왜 안찍느냐' 하니까 전화로 하더라고요. '나 전화했어요' 그래, (전화한 건 방문했다는 기록이고 백신 맞았다는 건) 백신 맞았다고 전화했다는데? 백신 맞은것도 전화로 된다고 하더만."<br /><br /> "(QR코드 못하시는 분들도 계시고?) 우리는 안해놨어요. 그거 없잖아. (그럴 경우엔 어떻게 확인을 하나요, 전화로?) 네, 전화로. (안심콜?) 네, 그걸로 확인해요."<br /><br />단속에 나서야 하는 서울시도 이같은 사실을 모르는 건 아닙니다. 시의 한 관계자는 '우리도 단속을 나가면 고령의 식당 주인들이 방역패스를 어떻게 하는지 몰라 난감하다'는 입장을 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엄격하게 방역패스를 적용하지만 현실에 맞는 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<br /><br /> "QR코드 활용에 능숙하지 않은 노인 계층, 상공인들과 같은 디지털 소외계층이 존재하는게 현실이기 때문에 좀 더 포용적이고 차등을 두는 방역방식을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."<br /><br />QR코드 인증이 쉽지 않은 시각장애인에겐 '접종증명서'를 발급받아 대체하도록 하지만, 발급 자체가 어려운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등 장애인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디지털화로 어르신들을 난감하게 만든 건 QR코드 뿐만이 아닙니다. 먹고 사는 문제가 달린 금융 거래도 더 어려워졌는데요. 은행 점포는 점점 사라지고, 비대면 서비스에서만 얻을 수 있는 혜택이 늘어나는 데 이를 누릴 수 없으니 박탈감마저 느껴집니다.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금융앱 앞에 고령층 한숨…혜택 못 받고 사기 피해도 / 차승은 기자]<br /><br />서울 구로구에 사는 이희숙 할머니는 송금 같은 간단한 금융 거래를 할 때도 은행을 방문합니다.<br /><br />자녀들과 은행원들이 은행 앱을 설치해주긴 했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복잡하니까는… 요새 문자 잘못 보고 잘못 누르면은 돈이 얼마가 빠져 나갔대나 어쨌대나 그런 일 많잖아요."<br /><br />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청약 열기가 뜨거웠던 지난달 18일, 증권사 앞에 줄을 선 사람들은 대부분 증권사 앱 사용이 어려운 고령층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 이용 실태를 보면, 금융 앱을 사용하는 60대는 10명 중 4명도 되지 않고, 70대 이상은 10명 중 1명 정도에 그칩니다.<br /><br />60대 이상 고령층 이용자 수가 조금씩 늘고 있기는 하지만 금융의 디지털화 속도를 따라 잡기는 역부족입니다.<br /><br />은행, 증권사 할 것 없이 근 10년 사이 모든 금융사 점포 수가 감소했는데, 그 감소폭은 매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40~50개씩 감소하던 일반은행은 재작년 300개 가까이 줄고, 특수은행도 감소폭이 5배 넘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고령층의 반발에 은행들은 일부 점포 폐쇄 계획을 철회하고, 고령층 맞춤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현금 입출금기 등 기기의 글씨를 키우고 구성을 단순화해 디지털 적응을 돕는 영업점을 만들거나,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을 위해 찾아가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식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런 대책 조차 오프라인에 머물면서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로 얻을 수 있는 혜택에서 고령층은 여전히 배제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융사는 점포 운영 비용이 들지 않는 만큼 비대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금리 우대 등 금전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데, 지점 창구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고령층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비대면 서비스가 주는 시간적 여유나 편리함도 고령층에게는 다른 세상의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오히려 디지털 취약계층임을 악용한 금융사기 범죄의 표적이 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결국 '디지털 격차'로 인한 손해를 메우기 위해서는 고령층의 디지털 역량을 끌어올라가 위한 사회적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디지털로 넘어가기 위한 교육이라든가…생존의 문제에서 디지털 역량이 약해서 문제가 되는 분들을 집중적으로 타깃으로 해서…"<br /><br />디지털화가 금융 외에도 사회 전방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국가와 사회의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...

Buy Now on CodeCanyon